application.properties 의 rds 아이디와 비밀번호 정보가 적혀있습니다.
위 내용을 github에 올리지 않기 위한 방법을 확인하였고 .gitignore 라는 것을 적용해 보았습니다.
.gitignore 파일은 프로젝트 최상위 위치에 존재해야하며 아래의 패턴을 활용하여 git이 untracked할 파일 또는 디렉토리등을 정의하여 파일을 생성해야 합니다.
패턴
작성 패턴은 아래의 규칙을 따릅니다.
- '#'로 시작하는 라인은 무시한다.
- 표준 Glob 패턴을 사용한다.
- 슬래시(/)로 시작하면 하위 디렉터리에 적용되지(recursivity) 않는다.
- 디렉터리는 슬래시(/)를 끝에 사용하는 것으로 표현한다.
- 느낌표(!)로 시작하는 패턴의 파일은 무시하지 않는다.
현재는 application.properties 파일만 무시하면 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작성한 후에 application.properties를 수정한 후에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git add -> git commit -> git push)
### custom ###
application.properties
오잉? 그래도 수정사항이 반영되고 있어서 구글링을 하였더니 cache 문제인 것으로 파악이 됩니다.
git rm -r --cached .
다시 변경사항을 올려보니 적용이 잘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